본문 바로가기
  • The Story's Window
  • The Story's Window
책 리뷰/미스터리,스릴러 소설

"법과 복수의 경계에서 방황하는 아버지의 칼날" 히가시노 게이고의 "방황하는 칼날"

by 소리우 2024. 10. 4.
728x90
반응형
"그 녀석에게 복수한다고 해도 이 슬픔이 지워지지는 않을 거야."



히가시노 게이고의 방황하는 칼날




히가시노 게이고의 『방황하는 칼날』은 딸을 잃은 아버지의 끝없는 고통과 복수의 길은, 단순한 범죄 소설을 넘어선 인간의 감정 깊숙한 곳을 들여다보게 한다. 그럼에도 이 소설이 던지는 질문은 단순하다: 복수란 과연 무엇을 남기는가?

줄거리


나가미네 시게키는 평범한 삶을 살던 남자다. 그러나 어느 날 그의 딸, 에마가 끔찍한 사건에 휘말려 살해당한다. 딸의 시신을 마주한 시게키는 절망에 빠지고, 경찰의 수사도 그에게 위로가 되지 않는다. 시간이 지날수록 경찰이 범인을 잡지 못하자, 시게키는 스스로 범인을 찾아 복수하기로 결심한다.

"나는 놈들을 용서할 수 없어. 내 손으로 직접 심판해야만 해." 그는 이렇게 결심하고 움직이기 시작한다. 딸의 죽음에 대한 진실을 쫓는 과정에서, 그는 점점 복수의 늪에 빠지게 된다. 사건의 배후에 있는 범죄 조직과의 충돌, 그리고 그 과정에서 만나는 다양한 인물들 속에서, 시게키는 점점 인간성을 잃어간다.

하지만 그의 복수는 점점 그를 파괴해 나간다. 시게키가 진정 원하는 것이 딸의 원수를 갚는 것인지, 아니면 자신만의 슬픔을 해소하기 위한 것인지 모호해지기 시작한다. 그 과정에서 시게키는 ‘정의란 무엇인가’에 대해 끝없이 고민하게 된다.

리뷰


『방황하는 칼날』은 복수라는 주제를 매우 철저하게 파고든다. 주인공이 법의 테두리 밖에서 스스로 정의를 실현하려는 과정은 독자로 하여금 딜레마에 빠지게 한다. 복수가 과연 정의로워질 수 있는가? 히가시노 게이고는 그 답을 쉽게 내리지 않는다. 대신 시게키의 복수 여정을 통해, 인간이 겪을 수 있는 극한의 고통과 그로 인해 타락해 가는 과정을 보여준다.

특히 소설은 사건의 전개 속도와 긴장감이 뛰어나다. 시게키의 복수 계획이 차근차근 진행될수록, 독자는 그가 언제, 어디서 잘못된 선택을 할지 조마조마하게 된다. 작가는 긴장감을 유지하면서도 시게키의 내면 갈등을 섬세하게 그려내고, 이를 통해 독자는 시게키에게 연민과 비판을 동시에 느끼게 된다.

그러나 이 소설이 주는 메시지는 단순히 복수에 그치지 않는다. 복수를 통해 남겨진 것은 과연 무엇인가, 그리고 그 끝에서 남은 것은 무엇인가? 이런 질문들은 독자로 하여금 복수와 정의에 대한 깊은 고민을 하게 만든다.

이 소설을 싫어할 만한 분


『방황하는 칼날』은 다소 무겁고 어두운 내용을 다루고 있어서 밝고 유쾌한 소설을 기대하는 사람들에게는 맞지 않을 수 있다. 잔혹한 범죄 묘사와 복수라는 주제는 읽는 이로 하여금 불편함을 줄 수 있다. 또한, 주인공이 법의 틀을 넘어서 직접 복수를 실행하는 과정에서 느껴지는 도덕적 딜레마는 윤리적 관점에서 거부감을 느낄 수도 있다. 무엇보다 소설 내내 유지되는 긴장감과 어두운 분위기가 부담스러울 수 있다.

끝맺음


히가시노 게이고의 『방황하는 칼날』은 복수의 양면성과 그로 인한 파멸을 깊이 있게 다룬 작품이다. 복수가 과연 무엇을 남기며, 그 과정에서 인간은 어떤 변화를 겪는지를 극적으로 그려냈다. 무거운 주제와 어두운 전개에도 불구하고, 인간의 감정과 도덕적 갈등을 밀도 있게 다루며 독자들에게 깊은 울림을 준다.

히가시노게이고의 방황하는 칼날

 

읽어보면 좋을 다른 책

 

회랑정 살인사건 - 고요한 시골 저택에 감춰진 잔혹한 진실

히가시노 게이고의 작품은 언제나 우리를 그 속으로 빨아들이는 매력이 있다. 복잡한 인간관계와 날카로운 심리 묘사로, 그의 소설은 사건이 끝난 뒤에도 한동안 머릿속에 남아 독자에게 깊은

notes1702.tistory.com

용의자x의 헌신

 

히가시노 게이고의 용의자 X의 헌신

"사람이 할 수 있는 일은 다 했어. 이제 신만이 아는 영역이야." 추리소설을 이야기할 때 히가시노 게이고의 이름은 빠지지 않는다. 그의 작품 중에서도 많은 독자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긴 소설

notes1702.tistory.com